하얀 우체통

김영희 | 기사입력 2017/07/25 [14:59]

하얀 우체통

김영희 | 입력 : 2017/07/25 [14:59]
▲ 김영희 시인     ©

한여름 밤 비구름 위에서 달은 발을 적시며 걷는다. 그러나 먹구름 위에 달은 언제나 환하다. 수많은 편지를 담아 빨리 전하고 싶어서일까. 비구름이 무거운 마음을 털어내는 동안, 달은 자신을 비우고 있다. 비우면서 보름, 담으면서 보름, 언제나 보름은 쉬이 가는 듯하다. 그러나 그는 늘 백지다. 가진 것이 없어서일까.

저 들 너머, 저 산 너머, 저 바다건너 지구 반대편으로 가신 어머니는 그래도 미소 지으신다. 그 미소는 그리움이고 아쉬움이고 눈물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어머니의 미소가 아픈 눈물보다 깊게 느껴지는 것일까. 어느덧 어머니가 브라질로 가신지 1년이 되어간다. 사진 속에 어머니는 늘 웃는다. 그 미소에는 세월의 깊이가 있다.

내가 달을 볼 때는 어머니는 해를 보고, 어머니가 달을 바라볼 때는 나는 해를 본다. 달은 아무리 밝아도 온도가 없이 냉철하다. 그래서 내 마음을 전하는 데에도 하루가 걸린다. 어머니의 뜰에는 언제나 꽃밭이지만 어머니의 인생에는 도시가 없다. 언제나 머리위에는 뜨거운 태양이 있고 별이 있다. 그리고 어머니의 가슴에는 어두운 밤 걸어갈 자식들을 위해, 달이 걸려 있다.

나는 살면서 어머니의 눈물을 본 적이 없다. 또한 격한 표현이나 화를 내는 모습도 본 적이 없다. 자식들을 위해 기도할 때에도 경건함이 느껴질 뿐이었다. 어쩌면 어머니의 잔잔한 미소는 삶이 발효된 가장 진실한 눈물일지도 모른다. 또한 당신을 지탱하는 자존심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하늘아래 어머니는 아니 계신 듯 멀기만 하다. 어머니와 나의 우체통은 하나는 달이고, 하나는 스마트폰이다. 가끔씩 여동생이 브라질 하늘의 달을 찍어 보내주는데 한국 달보다 가깝게 보이는 건 왜일까. 어머니의 마음이 우리보다 더 절실해서일까. 아무리 멀지라도 가끔씩 전해오는 어머니의 사랑만은 가깝게 느껴진다.

요즘은 지구상의 일들은 가깝고도 멀고, 멀고도 가깝다는 걸 느낀다. 밤과 낮은 비록 반대로 맞이하지만 스마트폰의 문자는 안방에 같이 있는 것보다도 빠를 때가 있다. 카톡으로 소통을 하고 영상통화를 하고 일상의 사진을 주고받으니 말이다. 가끔 어머니와 카톡으로 영상통화를 하면 세월 좋다며 아주 반가워하신다. 어느덧 어머니와 여동생이 가서 심은 나무에는 바나나가 주렁주렁 열렸다는 사진을 보내온다. 또한 살구나무만한 목화나무에 목화솜이 피어나는 사진을 보내오기도 한다. 그래서 요즘은 브라질에서 소식이 오려나하고 밤이면 깨어 있을 때가 많다.

어머니가 브라질로 가실 때, 가지 말라고 붙잡으면 어머니는 늘 그랬다. ‘한국이나 브라질이나 내가 한 번 사는 지구인데 지구에서 살다가 지구에 묻히는 것이 뭐가 다르냐. 지구에 살던 육신이 다른 별에야 묻히겠나하셨다.

이제는 멀리 계시는 어머니를 살아생전 몇 번이나 뵐 수 있을까. 오늘은 자꾸만 어머니가 보고 싶다. 브라질 가시기 전 충주 집에서 야윈 어머니를 씻겨드리던 생각이 난다. 아직은 그래도 반듯한 자세였지만, 구십을 바라보는 어머니의 등은 야위고 작은 모습이었다. 아주 오랜만에 어머니를 머리부터 발끝까지 씻겨 드리다보니, 조금은 어색함마저 들었다. 엄마의 딸이지만 나 사는데 바빠서, 어머니의 몸이 그렇게 야윈 줄은 몰랐던 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어머니 혼자 거뜬히 샤워를 한다. 늘 걷기를 좋아하는 어머니는 치아관리도 철저히 했었다. 저 높고 푸른 하늘 아래 어머니는 어디서든 웃고 사신다. 그 미소가 하늘에 닿아 달빛이 더 아름다운 걸까. 아무것도 해드린 것 없지만 건강하게 오래오래 좋은 세상 두루 구경하셨으면 좋겠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조길형 충주시장, 2024년 갑진년 새해 충혼탑 참배
1/19
광고
광고
광고